건강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qortn 2017. 11. 1. 16:25
반응형

 

찬바람이 불면, 노로바이러스 주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에서는 겨울철에도 노로바이러스 감염으로 추정되는 식중독 의심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개인위생과 식품위생 관리에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최근 5년(‘12~’16년) 동안 매년 평균 50건(1,238명)이 발생하며, 월별로는 11월 7건(181명), 12월 12건(238명), 1월 8건(147명), 2월 5건(80명)으로 날씨가 추워지는 11월부터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였다.특히, 지난해에는 유치원·어린이집 등에서 면역력이 낮은 유아를 중심으로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증가하였다.  출처/식약처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 해수 등이 채소, 과일류, 패류, 해조류 등을 오염시켜 음식으로 감염될 수 있고, 노로바이러스 감염자와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될 수 있다. 실제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원인을 분석해 보면 오염된 지하수나 어패류에 의해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되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 영하 20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이 오랫동안 가능하고 단 10개의 입자로도 감염시킬 수 있으며, 주요 증상으로는 24~48시간 이후 메스꺼움, 구토, 설사, 탈수, 복통, 근육통, 두통 등이 발생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을 위한 실천요령

 개인위생관리 요령


화장실 사용 후, 귀가 후, 조리 전에 손 씻기를 생활화해야 한다. 특히, 노로바이러스는 입자가 작고 표면 부착력이 강하므로 30초 이상 비누나 세정제를 이용하여 손가락, 손등까지 깨끗이 씻고 흐르는 물로 헹궈야 한다. 구토, 설사 등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환자의 침, 오염된 손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어 화장실, 변기, 문손잡이 등은 가정용 염소 소독제로 40배 희석(염소농도 1,000ppm)하여 소독하는 것이 좋다. 또한 환자의 구토물은 위생용 비닐장갑 등을 끼고 오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치우고, 바닥은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  ※ 가정용 염소 소독제(4%) 40배 희석 방법(1,000ml 제조 시) : 물 975ml + 염소 소독제 25ml  굴 등 수산물은 되도록 익혀 먹고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 마셔야 한다. 노로바이러스는 열에 강하기 때문에 조리음식은 중심온도 85℃, 1분 이상에서 익혀야 하며,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섭취해야 한다.

 

조리 기구는 열탕 또는 염소소독으로 철저하게 세척 및 소독해야 하며, 조리대와 개수대는 중성세제나 200배 희석한 염소 소독제로 소독한다. ※ 가정용 염소 소독제(4%) 200배 희석 방법(1,000ml 제조 시) : 물 995ml + 염소 소독제 5ml

 

 

 노로바이러스

 

급성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감염성이 매우 강하여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등으로 감염이 가능하며, 영하 20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도 오래 생존하고, 알콜 등 소독제와 다양한 환경에서 저항성이 매우 높다. 급성기 환자의 경우 대변 1g 당 1억개, 구토물 1g 당 100만개의 바이러스 입자가 존재하고 단 10개의 바이러스 입자로도 감염될 수 있어 감염력이 매우 높다. 

노로바이러스 감염 증상

주요증상은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이고, 때로는 두통, 오한 및 근육통을 유발하기도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24~48시간 후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해 빠르면 12시간 뒤 증상이 사라질 수 있으나,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감염자의 구토물이나 배설물에는 2주동안 바이러스가 남아있을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행현황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국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한해 50건(환자 1,200여명)이 발생(‘12~16년 평균)하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발생건수, 환자수 : (‘12) 50건, 1,665명 (’13) 43건, 1,606명 (‘14) 46건 739명, (’15) 58건 996명 (‘16) 55건, 1,187명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법

 구토물 처리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