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늘어나는 뇌졸중환자

@qortn 2017. 4. 6. 13:59
반응형

뇌졸중 ‘위험’ 고령화 뚜렷
혈관 막히는 시한폭탄 ‘뇌질환’
늘어나는 뇌졸중 환자 진료비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의 5명 중 4명은 6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난 2011~2015년 뇌졸중 환자를 분석한 결과 2015년 53만8000명으로 2011년 52만1000명에 비해 3.2% 증가했다고 밝혔다. 뇌졸중 환자 53만8000명 중 뇌경색은 44만1000명, 뇌출혈은 8만6000명으로 뇌경색이 뇌출혈보다 5.1배 많은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뇌출혈 연평균 증가율은 8.0%로 뇌경색 연평균 증가율 6.4%, 뇌졸중 전체의 연평균 증가율 6.7% 보다도 높아 증rk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도 연령이 높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뇌졸중」환자의 5명 중 4명은 60세 이상

▶ 60세 이상 연령대, 전체

진료인원의 77.8% 차지


▶ 전체 진료비 지출의 77.4%는 입원 진료비
  - 입원 1조 3,037억 원(77.4%) >

약국 2,941억 원(17.5%) >

외래 869억 원(5.2%) 순

▶ 허혈성 뇌졸중<뇌경색> 진료인원이

출혈성 뇌졸중<뇌출혈> 진료인원보다 5.1배 많아
☞자료출처/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5개년 간(’11~’15)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뇌졸중’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발표하였다.

 

 

1. 최근 5개년 간 ‘뇌졸중’ 진료인원 

3.2%, 진료비 29.6% 증가

 ‘뇌졸중’질환 연도별 진료현황 추이를 분석한 결과, 뇌졸중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5년 53만 8천 명으로 2011년 52만 1천 명 대비 3.2% 증가하였다.


 

 

2. ‘뇌경색’진료인원, ‘뇌출혈’ 보다 5배 이상 많아

 

뇌졸중은 혈관 막힘으로 혈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던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이 터짐으로써 뇌 안에 피가 고여 그 부분의 뇌가 손상당한 뇌출혈(출혈성 뇌졸중) 으로 나뉘는데, 2015년 건강보험 빅데이터 자료를 바탕으로 뇌경색과 뇌출혈의 진료현황을 살펴보았다.

 

 ❍ 뇌졸중 전체 진료인원 53만 8천 명 중 뇌경색 진료인원은 44만 1천 명이고, 뇌출혈 진료인원은 8만 6천 명으로 뇌경색 진료인원이 뇌출혈 진료인원보다 5.1배 많았다.


 

 

 

3.‘뇌졸중’환자 5명 중 4명이 60대 이상 고연령층

 

2015년 기준으로‘뇌졸중’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연령대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고연령층(70대, 60대, 80세 이상 순) 일수록 진료인원 수가 많았으며, 이 연령구간에서 전체 진료인원의 77.8%를 차지하여 뇌졸중 환자의 5명 중 약 4명은 60세 이상 고연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인구 비율을 고려한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욱 더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60대에 비해 70대에서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 차이가 3,386명으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즉, 70대에서 진료인원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신경과 이준홍 교수는 ‘뇌졸중’ 진료인원이 60대 이상 고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  뇌졸중 위험인자들 중 고혈압, 당뇨병, 이상 지질혈증, 심장질환, 비만, 대사증후군 등 대부분이 노인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고, 혈관자체도 고령층이 될수록 탄력이 떨어지고 모양이 변하는 등 퇴행성변화가 오게 된다.

 

4. 최근 5년간 여성 ‘뇌졸중’

진료인원 감소경향 보여

 

 최근 5개년 간‘뇌졸중’질환의 성별 진료현황을 살펴본 결과, 남성 진료인원은 2011년 26만 6천 명에서 2015년 28만 4천 명으로 1만 7천 명(6.5%↑) 증가하였으나, 여성 진료인원은 2011년 25만 4천 명에서 2015년 25만 3천 명으로 903명(0.4%↓) 감소하였다.

 

5. ‘뇌졸중’ 진료비 지출의 77%가 입원 진료비

 

  2015년 기준으로‘뇌졸중’질환의 진료형태별 진료비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진료비 중 77.4%가 입원 진료비로 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 전체 진료비 1조 6,847억 원 중 입원 진료비가 1조 3,037억 원으로 전체 77.4%를 차지하였고, 뒤이어 약국 2,941억 원(17.5%), 외래 869억 원(5.2%) 순이었다.  ❍ 반면에 진료인원은 외래가 48만 3천 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약국 40만 1천 명, 입원 13만 2천 명 순이었다. 진료인원은 외래가 입원에 비해 3.7배 많았다.  ❍ 1인당 평균 진료비를 살펴보면, ‘뇌졸중’으로 입원한 경우 연간 평균 진료비는 평균 984만 원으로 약 1천만 원 가까이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에 지출되는 연간 평균 진료비도 73만 원으로 나타났으며, 외래 연간 평균 진료비는 18만 원이었다.


 

 

주) 진료인원의 경우 중복이용이 가능하

므로 전체 환자의 합과 다를 수 있음

 

< 뇌졸중의 원인 및 증상 >

 

뇌졸중(뇌혈관질환)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기전에 의하여 손상된 뇌 부위에 신경학적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슷한 증상을 미리 경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전조증상이라기 보다는 뇌졸중이 이미 발생한 것이다. 연이어 재발 할 위험이 많은 것으로 생각하고 뇌졸중에 준하여 치료를 해야 한다.

 

원인 : 뇌졸중의 원인으로는 조절이 불가능한 원인과 조절이 가능한 원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절이 불가능한 원인으로는 나이, 인종, 유전적 요인 등이 있고, 조절이 가능한 원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의 심장질환과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운동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 등이 있다. 따라서 조절이 가능한 원인에 대해서는 평소의 관심과 적극적인 관리로 예방이 가능하다.

 

증상 : 뇌졸중의 증상은 뇌혈관의 폐색 또는 터짐에 의하여 손상된 뇌의 해당 기능이 상실되는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한쪽 눈 시각의 일시적 상실, 편마비, 구음장애, 어지러움, 언어장애, 기억력 및 인지기능의 장애, 두통, 복시, 삼킴장애, 감각이상 등이 있다.

 

< 치료 및 관리 >

 

일단 뇌졸중이 발생하면 증상발생 후 치료시작을 얼마나 빨리 할 수 있는지가 치료와 관리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뇌졸중 증상이 발생하면 최대한 빨리 급성기 뇌졸중을 치료할 수 있는 시설 및 인력을 갖춘 병원을 방문하여 혈전용해술, 혈관확장술, 혈전제거술 등의 초급성기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급성기 치료 후에는 뇌졸중 원인에 따라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방침을 선택하게 되며, 후유증에 대한 재활치료도 가능한 빨리 시행하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된다.

 

발병 후 치료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최대한 빨리

전문 의사가 있는 병원의 응급실로 가야한다.


 

❍ 예방법

 

 

 - 뇌졸중은 생활병이라고 할 만큼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위험요인의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의 심장질환과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의 조기발견 및 관리에 힘쓰는 것이 뇌경색의 예방에 필수적이다.  또한, 규칙적인 혈압 측정과 혈압관리, 당뇨 관리, 금연과 절주가 중요하며 동물성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을 싱겁게 먹는 건강한 식사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적어도 일주일에 4일은 하루에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일부 심방세동 등의 심장병이나 목동맥 협착증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하다. 자료출처/국민건강보험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에서울리는소음[이명]  (0) 2017.04.20
비문증  (0) 2017.04.17
방아쇠수지 증후군  (0) 2017.03.27
내가먹는약! 한눈에 서비스  (0) 2017.03.17
녹농균(綠膿菌) 을 늘리는 생활습관?  (0) 2017.03.16